트랜잭션의 특성에는 원자성, 일관성, 독립성, 영속성이 있다. 이중에서 일관성, 영속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 일관성 :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거나 실패하더라도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 영속성 : 트랜잭션 종료 후, 논리적 장애나 오류 등으로 데이터 내용의 변화가 없어야 한다.
( )는 지금까지 PSTN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졌던 전화통화를 IP기술을 사용하여 음성데이터를 보냄으로 전화통화하기 위한 전송매체로 사람들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범주이다. ()의 이점 중 하나는 사용자들이 인터넷 비용을 지불하여 e메일을 보낼 때 각각 요금을 지불하지 않는 것처럼 인터넷으로 전화를 걸어 초과 요금을 지불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VoIP
( )는 합법적으로 소유하고 있던 사용자의 도메인을 탈취하거나 DNS 이름을 속여 사용자들이 진짜 사이트로 오인하도록 유도하여 개인 정보를 훔치는 신종 인터넷 사기 수법이다. 피싱이 금융 기관 등의 웹사이트에서 보낸 이메일로 위장하여 링크를 유도해 개인의 인증 번호나 신용카드 번호, 계좌 정보 등을 빼내는 반면, ( )은 아예 해당 사이트가 공식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도메인 자체를 발휘한다. 사용자들은 늘 이요하는 사이트로 인식하여 의심하지 않고 개인 ID, 패스워드, 계좌 정보 등을 노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 파밍
스마트폰이 곁에 없을 때 불안감이나 두려움을 느끼는 증상을 말한다. 전 세계에 스마트폰이 폭발적으로 보급되고 스마트폰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지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통신기기와 잠시 떨어지게 되면 의사소통이 단절될 수 있다는 두려움, 정보 접근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불안감 등으로 나타난다.
- 노모포비아
알고리즘 구현과 관련된 용어
- 시간 복잡도 :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프로그램 실행 시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계산
미국의 GPS, 유럽의 갈릴레오 위치결정시스템과 유사한 러시아의 전과 위성 항법 시스템이다. 미국의 상업 및 군사용으로 개발된 GPS는 CDMA 방식으로 사용하지만 이것은 FDMA 방식을 사용한다.
- 글로나스
이상(Anormaly)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과 종류 3가지를 쓰시오
- 원인 : 릴레이션에서 일부 속성들의 종속으로 인해 데이터 조작 시 불일치가 발생한다.
- 종류 : 삽입이상, 삭제이상, 갱신이상
고정된 유선망을 가지지 않고 이동 호스트(Mobile Host)로만 이루어진 통신망으로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이동 노드는 단지 호스트가 아니라 하나의 라우터로 동작하게 되며, 다른 노드에 대해 다중 경로를 가질 수 있다. 또 한 동적으로 경로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반구조 없는 네트워킹이라고도 한다. 재난현장과 같이 별도의 고 정된 유선망을 구축할 수 없는 장소에서 모바일 호스트(Mobile Host)만을 이용하여 구성하므로 망을 구성한 후 단기간 사용되는 경우나 유선망을 구성하기 어려운 경우에 적합하다. 유선망과 기지국이 필요 없고 호스트의 이동에 제약이 없는 것이 장점이다.
- 애드훅 네트워크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연산 집합으로서 작업의 단위가 된다. 트랜잭션의 연산 중 COMMIT의 개념을 간략히 서술하시오.
- COMMIT : 트랜잭션이 성공했을 경우 결과를 DB에 반영하여 완료시킨다.
정보보안의 3대 목표인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의 개념을 간략히 서술하시오.
- 기밀성 : 인가된 사용자만 정보 자산에 접근 가능하다.
- 무결성 : 적절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인가된 방법으로 정보 자산에 접근 가능하다.
- 가용성 : 인가된 사용자가 적절한 시간에 정보자산에 접근 가능
데이터마이닝(Data Mining)의 개념을 간략히 서술하시오.
- 많은 데이터 가운데 숨겨져 있는 유용한 상관 관계를 발견하여 미래에 실행 가능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해 내고 의사소통 과정에 이용하는 과정
네트워크 이용자의 인증을 위해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과 전송 계층 보안(TLS)을 통해 레이디어스(RADIUS, Remote Authentication Dial In UserService)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RADIUS over TLS’의 준 말로, RADIUS는 이용자가 접속을 요구할 때 이용자의 ID나 암호화 같은 정보를 서버로 보내어 식별하고 인증 을 수행한다. 하지만 기존의 RADIUS가 보안이 취약한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에 의존한다는 점과 패킷 적재 부분에서의 보안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하였다. 보안성이 높은 TCP나 TLS를 사용하고, 이용 자와 서버 간의 인증서 교환 등을 통한 상호 인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 Redsec, 레드섹
병행 제어(Concurrency Control)의 개념과 병행 제어 기법 중 로킹 기법의 개념을 서술하시오.
- (1) 병행제어 : 동시에 여러 개의 트랜잭션 수행 시, 데이터베이스 일관성 유지를 위해 트랜잭션 간 상호작용 제어
- (2) 로킹기법 : 하나의 트랜잭션이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동안 다른 트랜잭션이 그 데이터를 접근할 수 없도록 하는 기법
( )은(는) 네트워크를 컴퓨터처럼 모델링하여 여러 사용자가 각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로 네트워킹 을 가상화하여 제어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이다. ( ) 기술은 네트워크 비용 및 복잡성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 간주되어 기존 네트워킹 기술의 폐쇄형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개방형으로 변화시키는 미래 인터넷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 SDN
( )은(는) 웹 서비스와 관련된 서식이나 프로토콜 등을 표준적인 방법으로 기술하고 게시하기 위한 언어 이다. . 웹 서비스가 확장성 생성 언어(XML)를 기반으로 하여 표현되고 ( )(으)로 정의되면, UDDI(Univer sal Description Discovery and Integration)에 의해 서비스 저장소에 등록된다. 이후 등록된 서비스는 웹에 접 속하는 누구라도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다. 웹 서비스는 ( )에 의해 서비스 제공 장소나 서비스 메시지 포맷, 프로토콜 등의 구체적인 내용이 기술된다.
- WSDL
컴퓨터가 사람을 대신하여 정보를 읽고 이해하고 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이해하기 쉬운 의미를 가진 차세대 지능형 웹이다. 예를 들면, 휴가 계획을 짜기 위하여 웹상에 있는 여행 정보를 일일이 직접 찾아서 비행기와 호텔을 예약하는 대신에 자동화된 프로그램에 대략적 휴가 일정과 개인의 선호도만을 알려주 면 자료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웹상의 정보를 해독하여 손쉽게 세부 일정과 여행에 필요한 예약이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즉, 사용자가 정보를 검색하면 컴퓨터가 정보를 찾아 그 뜻을 이해하고 추론까지 하는 컴퓨터 기술을 말한다.
- 시멘틱 웹
( )은(는) 제품의 조달에서 설계, 개발, 생산, 운용, 유지보수에 이르는 제품의 수명 주기 전반에 대해 서류, 도면, 거래 등 모든 기술정보 등을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한다. ( )은(는) 1985년 미국 국방부에서 컴퓨터를 이용해 군수 물자와 기술의 흐름을 합리적으로 통제하여 군수품 납품 체계를 개선할 목적으로 처음 도입 되으며, 이후 국내에서는 삼성 항공, LG 화학 등에서 ( ) 표준에 의한 설계 관리 또는 문서 교환 관리 시스템 등을 1992년부터 도입하여 사용하였다.
- CALS
( )(이)란 비기술적인 해킹 중 인간 상호 작용의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사람들을 속여 정상 보안 절차를 깨트리기 위한 해킹 기법을 말한다. 우선 통신망 보안 정보에 접근 권한이 있는 담당자와 신뢰를 쌓고 전화나 이메일을 통해 그들의 약점과 도움을 이용하는 것이다. 상대방의 자만심이나 권한을 이용하는 것, 정보의 가치 를 몰라서 보안을 소홀히 하는 무능에 의존하는 것과 도청 등이 일반적인 ( )적 공격 전략이다.
- 사회공학
장기간 보관하여 두고 조금씩 얇게 썰어서 먹는 이탈리아 소시시에서 따 온 말로, 컴퓨터·금융 사기수법의 하나 이다. 눈치 채지 못할 정도의 소액을 많은 사람들에게서 빼가는 것을 의미하며, 인당 피해금액이 적어 피해자가 눈치채기 어렵다는 점을 노렸다. 휴면계좌에 남아있는 소액을 노리거나 금융 거래시 발생하는 이자 끝자리를 반올림해 눈에 띄지 않게 갈취한다.
- 살라미
정보를 수집한 후, 저장만 하고 분석에 활용하고 있지 않는 다량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향후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삭제되지 않아 공간만 차지하고 있으며, 보안 위협을 초래하기도 한다.
- 다크데이터
( )(이)란 문자, 음성, 영상 등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미디어와 콘텐츠이다. 이는 텍스트만을 사용 하는 기초적 컴퓨터 디스플레이 또는 전통 방식의 인쇄나 수작업으로 제작된 미디어와는 대조적이다. 기존의 미디어는 기능별로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음성은 통신, 영상은 TV, 데이터는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되었으나 디 지털 기술이 실용화되고, 전기통신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모든 미디어가 ( )(으)로 진화하게 되었다. 라디 오는 음성에 비디오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 ) 방송인 DMB로 진화하고, TV도 인터넷을 수용한 IPTV 또는 스마트 TV로 휴대전화도 인터넷과 결합하여 스마트폰으로 진화해 방송은 물론 통신 매체를 포함한 모든 매체가 ( )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에는 텍스트, 오디오, 정지 이미지, 애니메이션, 비디 오 또는 쌍방향성 콘텐츠 형식의 조합이 포함된다.
- 멀티미디어
'정보처리기사 > 오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기추가문제] - 데이터 입출력 구현 (0) | 2020.10.12 |
---|---|
프로그래밍 언어 (0) | 2020.10.10 |
[필기핵심요약문제] - 제품소프트웨어패키징 (0) | 2020.10.10 |
[필기핵심요약문제] -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0) | 2020.10.06 |
[필기핵심요약문제] - 요구사항 확인 (0) | 2020.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