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ervice 클래스 생성 - AdminController에 적용 2 CRUD 테스트 - insert, read, update, delete 구현 CRUD 실행 순서 워크벤치 쿼리 실행한 것 참조 -> mapper쿼리 만듦 -> DAO클래스에서 쿼리 메소드 호출 -> Service클래스에서 DAO호출 -> Controller에서 Service 호출 -> jsp * [DAO클래스 -> Service클래스]를 한 개의 클래스로 사용하는 것 = 스프링부트 방식(소규모 프로젝트용) * [Controller -> jsp] = JUnit 테스트 그렇다면 DAO와 Service를 두 개의 클래스로 나눈 이유는? 1. 현업에서 사용되는 솔루션들이 두 개로 클래스를 나눈 구조이다. 2. DAO는 DB에 접근하는 부..
오늘은 정말 개인적으로 힘든 수업이었다. 오류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깃도 푸시가 안돼서 애를 먹었다ㅠ 오늘 수업은 JUnit 테스트! (JUnit테스트는 개발 시작 전 준비 단계이다.) DB에 있는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서 어떤 과정이 필요할까? 원래의 개발 단계는 아래와 같다. jsp -> controller -> service -> dao -> mapper.xml -> DB(Mysql, Oracle) 자바단위테스트인 JUnit 테스트는 jsp, controller를 하기 전에 CRUD 테스트를 하기 위함이다. JUnit -> service -> dao -> mapper.xml -> DB 톰캣/JUnit을 실행해야만 DB가 연동되는데, 톰캣이 종료되거나 JUnit 테스트가 끝나면 DB연동이 끊어진다. ..
1. board_view.html 마무리 - 댓글 영역 생성 - 타임라인 추가, 페이징 처리 - 모달창 추가 - 댓글등록 시 ajax로 화면처리 - 댓글 수정 기능(모달창) 수정 2. board_list.html -> board_list.jsp로 변환 댓글 영역 생성 먼저, 아래 사이트에서 댓글 영역으로 사용할 디자인의 소스를 가져온다. adminlte.io/themes/v3/pages/kanban.html AdminLTE 3 | Kanban Board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er adipiscing elit. Aenean commodo ligula eget dolor. Aenean massa. Cum sociis natoque penatibus et magn..